엘앤씨바이오(290650) 심층 분석: 인체조직 이식재·ECM 스킨부스터 ‘리투오’와 중국·미국 확장

썸네일



분석 기준일: (KST) · 기준 통화: KRW · 회계: IFRS(연결 기준 표기)

1. 기업 개요

엘앤씨바이오(L&C BIO Co., Ltd., 코스닥 290650)는 2011년 설립된 인체조직 재생의학 기업으로, 인체조직 이식재(Dermis/뼈/연골 등)와 의료기기(유착방지재 ‘메가쉴드’) 및 ECM 기반 스킨부스터 ‘엘라비에 리투오(Elravie Re2O)’를 축으로 사업을 전개한다. 본사/공장은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둔촌대로 474에 위치한다.

출처 링크는 각 항목에 병기. 상기 일자는 기사/공시/회사발표 기준.


2. 주요 사업 분야

2.1 인체조직 이식재 (Dermis/뼈/연골 등)

엘앤씨바이오는 국내 조직가공처리업 허가를 보유한 소수 기업으로 피부·뼈·연골·근막 등 11종 인체조직을 가공·멸균하여 MegaDerm/Plus(피부), 골·연골 이식재 등을 공급한다. 수익모델은 병원·클리닉 대상 B2B 판매(수술재료), 재건성형·화상·정형·치과 등 광범위한 적용처에서 발생한다. 중국 시장에서는 2025-01에 MegaDerm Plus외국 기업 최초로 NMPA 수입허가를 취득, 유방재건/화상/성형 영역의 본격적인 진출 발판을 마련했다. 원재료 특성상 기증자 네트워크·윤리·추적관리 체계가 사업의 질을 좌우하며, 2024-08의 AATB 인증은 글로벌 수준의 품질·윤리·프로세스 역량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의미가 있다.

2.2 유착방지재 ‘메가쉴드(MegaShield)’ – 의료기기

메가쉴드는 갑상선 등 수술 후 유착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유착방지피복재다. 인체 유래 ECM 분말과 온도감응성 고분자를 결합한 겔 형태로 수술부위에 주입되어 일정기간 물리적 장벽을 형성한다. 2022-04에는 국내 선별급여 등재로 보급이 확대되었고, 2025-04에는 중국 NMPA 허가(제품군 기준)가 확인돼 중국 내 매출화가 기대된다. 수익모델은 병원 B2B 판매(수술재료)이며, 학회·임상데이터 기반의 적응증 확장이 촉매다.

2.3 ECM 스킨부스터 ‘엘라비에 리투오(Elravie Re2O)’ – 에스테틱

‘리투오’는 무세포 동종진피(hADM) 유래 ECM 성분을 직접 주입해 피부 진피층 구조 복원을 지향하는 차세대 스킨부스터다. 보습/PN·PDRN 촉진형 중심의 기존 제품군과 달리 직접 ECM 보충·복원에 초점이 있다. 국내 론칭 후 품귀 이슈가 관찰되었고, 2025-09에 싱가포르 품목허가 및 론칭으로 해외 확산의 신호탄을 쐈다. 국내 피부과/성형외과 채널은 파트너사 휴메딕스와 협업해 빠르게 확대되었으며, 동남아·중동·미·EU 인허가/런칭 절차를 병행 중이라고 밝히고 있다.

2.4 중국 사업 플랫폼(L&C China)

엘앤씨바이오는 2021년 CICC와 합작 후 2024-12에 L&C China를 100% 자회사로 편입했다. 2025-01 MegaDerm Plus NMPA 수입허가, 2025-04 MegaShield NMPA 허가를 확보하며 피부이식재·유착방지재의 현지 상업화를 본격화하고 있다. 중국은 재건성형/화상 치료 수요와 미용·성형 시장 성장세가 뚜렷하며, 현지 임상·유통·의료진 교육을 통한 시장 침투 전략이 병행된다.

  • L&C China 100% 편입 – 2024-12 [회사 연혁]
  • MegaDerm Plus NMPA 수입허가 – 2025-01-21 [한경]
  • MegaShield NMPA 허가(제품군) – 2025-04-30 [메디코파마뉴스]
  • 중국 내 외국 기업 최초 피부조직 이식재 수입허가(회사/언론) [한경]

3. 재무 현황 (IFRS 연결)

구분 2022 2023 2024 비고
매출액 (억원) 526 659 721 FnGuide(연결), 2025-09-06 조회
영업이익 (억원) 95 77 25 FnGuide 스냅샷
영업이익률 (%) 18.1 11.2 3.5 키움증권, 2025-01-06 / FnGuide
당기순이익 (억원) 57 485 1,407 2024년 순이익은 지분·평가이익 등 비현금 항목 영향이 큰 일회성 기여.
KIND 사업보고서(2025-03-21)
부채비율 (%) 85.24 67.18 61.37 FnGuide 스냅샷, 2025-09-05
영업활동현금흐름 (억원) -61 -121 미공시 키움증권 리포트(십억→억원 환산)
CAPEX(유형자산 취득, 억원) 375 245 미공시 키움증권(2025-01-06)

데이터 기준일/출처: FnGuide(연결), KIND/사업보고서(2025-03-21), 키움증권(2025-01-06). 2024 순이익은 회계적 일회성 영향이 큼.


4. 주가 및 주주 현황

종가(2025-09-05) 42,150원 (▲29.89%) 시가총액 1조 377억원
발행주식수(보통주) 24,618,850주 유통주식수/비율 16,923,082주 / 68.74%
외국인 지분율 9.40% 52주 고가/저가 42,150 / 15,270원
수익률(1M/3M/1Y) +33.18% / +56.69% / +146.20% 베타(1년) 0.73
주요 주주 이환철 외 9인 28.00%(2025-01-15), VIP자산운용 6.10%(2023-10-05), 자기주식 1.23%(2025-08-19) 등

출처: FnGuide 스냅샷, 2025-09-05.
자사주 취득 결의/결과: 2025-06-23 결의, 결과보고서 2025-08-26 (총 취득 100.0억원, 평균 33,086원) – KIND, X-FILE 요약


5. 성장 동력과 리스크

5.1 중장기 성장 동력(촉매)

5.2 핵심 리스크

  • 평가손실·파생 관련 손익 변동: 2025 상반기 CB 평가손실 등으로 영업·순손실 확대 보도. 분기 실적 변동성 유의. [메디코파마뉴스, 2025-08-19]
  • 원재료·공급망/윤리·규제 리스크: 인체조직 특성상 기증·추적·품질관리 체계 필수. AATB 인증 유지 중요. [한경, 2024-08-22]
  • 중국 규제·현지화 리스크: 가격/유통/인허가·사후관리, 현지 경쟁 심화 가능성. [매경 인터뷰, 2025-02-06]
  • 신제품 상업화 속도: ECM 스킨부스터 해외 인허가/의료진 교육/유통 채널 구축 속도에 매출 현실화가 좌우. [이데일리 마켓인, 2025-09-02]
  • 현금흐름: 2022~2023년 영업CF 마이너스, 매출성장 대비 운전자본/설비 투자부담 관리 필요. [키움증권, 2025-01-06]

6. 테마/연관주 지도 (국내)

테마 주요 연관주 연관 근거
ECM/스킨부스터·에스테틱 엘앤씨바이오(290650), 휴메딕스(200670), 파마리서치(214450), 클래시스(214150), 제이시스메디칼(287410) 리투오(ECM), 필러·주사제·에너지기반장비 채널 겹침. [휴메딕스 공지]
인체조직 이식재 엘앤씨바이오, 한스바이오메드(042520), 티앤엘(340570) 피부/뼈/연골/창상 및 드레싱 등 인체조직·창상재료 밸류체인
중국 의료·미용 시장 엘앤씨바이오, 파마리서치, 클래시스 등 NMPA 허가/현지 JV·법인·유통망 기반 매출화 [한경]


7. 최근 주가에 영향을 준 ‘[특징주]’ 뉴스 (10년, 최신순)

제목 매체 날짜 요지
[특징주] 엘앤씨바이오, 스킨부스터 ‘리투오’ 품귀 현상에 상한가 바이오타임즈 2025-09-05 국내 품귀·해외 확산 기대감 반영, 상한가
[특징주] “품절 사태 이어 해외 허가까지”…엘앤씨바이오, 리투오 이슈 급등 와이드데일리 2025-09-05 싱가포르 품목허가·현지 심포지엄 후 모멘텀
[특징주] 엘앤씨바이오, 리투오 출시로 상한가 한국경제TV 2025-09-05 ECM 부스터 신제품 이슈, 관련주 동반 강세
[특징주] 엘앤씨바이오-화장품 테마 상승세에 7.35%↑ 매일경제 2024-06-14 테마 수급 유입으로 급등
[특징주] 엘앤씨바이오-화장품 테마 상승세에 5.62%↑ 매일경제 2024-06-12 화장품/에스테틱 관련 테마 강세
[특징주] 엘앤씨바이오 ‘메가카티’ 식약처 품목허가에 강세 이데일리 2022-11-16 관절연골 제품 허가 모멘텀
[특징주] 엘앤씨바이오, 이식재 사업 해외진출 기대감에 강세 이데일리 2020-06-24 해외 진출 기대감 반영
[특징주] 엘앤씨바이오, 실적+美 진출 기대에 사흘째 강세 뉴시스 2019-03-19 실적/미국 진출 기대감
[특징주] 엘앤씨바이오, 상장 첫날 약세…공모가 상회 이투데이 2018-11-01 상장 변동성 확대
[특징주] ‘상장 첫날’ 엘앤씨바이오, 약세 아시아타임즈 2018-11-02 초기 수급 불안
[아이넷 AI 로봇 기자] 특징주, 엘앤씨바이오-의료기기 테마 상승세 매일경제(로봇) 2021-06-10 테마 순환 강세

데이터 수집 기준일: 2025-09-06. 중복/데드링크 최소화하여 선별.

참고/추가 출처

※ 본 글은 투자 권유나 자문이 아니며, 투자 결정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