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테일러 팹1: 테슬라 23조 투자와 2나노 전환, 장비 도입 일정

삼성전자 테일러 팹1: 2나노 전환·지연 요인·장비 도입 일정과 한국 상장사

삼성전자 테일러 팹1: 2나노 전환·지연 요인·장비 도입 일정과 한국 상장사

1. 개요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 테일러(Taylor) 팹1을 당초 4나노 공정으로 설계했으나, 테슬라와의 23조 원 규모 차세대 AI6 칩 생산 계약, 글로벌 AI·전기차 반도체 수요 급증, TSMC의 2나노 선제 대응에 대응하기 위해 2나노 GAA 전용 라인으로 전환했습니다.

이로 인해 공정 일정은 다소 지연되었으며, 특히 EUV 전용 베이 증설, 클린룸 청정도 강화, 초순수·특수가스 설비 보강, 핵심 장비 긴 리드타임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2. 장비 도입 일정 (추정)

  • 2025년 4Q: 유틸리티/보조 장비 (칠러, 스크러버, 케미컬 공급)
  • 2025년 말~2026년 1Q: 클린룸 인프라 (UPW, 특수가스, FFU/HEPA)
  • 2026년 상반기: 전공정 핵심 장비 (EUV, 식각, 증착, 이온 주입)
  • 2026년 2~3Q: 검사/계측·보조 (계측, 결함 검사, CMP, PR 트랙)
  • 2026년 하반기: 초기 양산 (테슬라 AI6 칩, 월 1~1.5만 웨이퍼)

3. 공정별 주요 장비와 주목 업체

공정 주요 장비 주요 업체 (한국 상장사 중심)
노광 EUV 노광기 글로벌: ASML (네덜란드, 독점)
한국: 직접 생산 없음. 다만 동진쎄미켐 (포토레지스트 소재) 수혜
식각 Dry Etcher, 플라즈마 식각 글로벌: Lam Research(미), TEL(일)
한국: 원익IPS (플라즈마 식각 장비 라인업 보유)
증착 CVD, ALD, PVD 글로벌: Applied Materials(미), TEL(일)
한국: 원익IPS, 에이피티씨 (ALD 장비)
이온 주입 Ion Implanter 글로벌: Axcelis(미), Nissin(일)
한국: 없음
CMP 화학적 기계 연마 장비 글로벌: Applied Materials, EBARA(일)
한국: 케이씨텍 (CMP 장비 및 슬러리 소모품)
계측/검사 CD-SEM, Overlay 검사 글로벌: KLA(미), Hitachi High-Tech(일)
한국: 필옵틱스, 피아이이(PIE) (유리기판 TGV 검사 장비로 주목)
포토레지스트 트랙 PR 도포·현상·세정 글로벌: TEL(일, 사실상 독점)
한국: 동진쎄미켐 (포토레지스트 원재료)
유틸리티 칠러, 스크러버, UPW, 특수가스 글로벌: Kurita(일, UPW), Air Products(미, 특수가스)
한국: 한온시스템 (칠러), 케이씨텍 (스크러버), 원익IPS (Gas Scrubber)

4. 유리기판 검사 장비 (최근 주목)

최근 시장에서는 유리기판(TGV) 검사 장비 관련 한국 기업이 특히 부각되고 있습니다.

  • 필옵틱스: 2.5D 영상 기반 TGV 검사 장비 개발, 반도체 기판 검사 시장 확대
  • 피아이이(PIE): AI 기반 유리기판 검사 솔루션, 최근 테마주로 급부상

5. 결론

삼성전자 테일러 팹1의 2나노 전환은 단순한 설계 변경이 아니라, 글로벌 고객 수요(테슬라)와 경쟁사 대응을 동시에 겨냥한 전략적 선택입니다. 일정 지연은 불가피했지만, 장비 도입은 2025년 말 유틸리티부터 2026년 상반기 핵심 장비, 하반기 양산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원익IPS, 케이씨텍, 동진쎄미켐, 한온시스템, 에이피티씨, 필옵틱스, 피아이이 등 한국 상장사들이 일정별로 주목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6. 참고 및 출처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