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천당제약 뉴스 링크
삼천당제약
1. 리벨서스(GLP‑1 경구용) BE Study 성공
파이낸셜뉴스에 따르면 삼천당제약은 경구용 GLP‑1 제제 ‘리벨서스’의 생체이용률(BE) 시험에서 SNAC 없이도 오리지널과 동등함을 입증하며 성공을 보고했습니다.
2. 리벨서스(경구용 GLP-1) BE Study 성공의 의미
GLP-1(Glucagon-Like Peptide-1) 계열 치료제는 현재 글로벌 당뇨·비만 치료 시장의 핵심 축으로, 노보 노디스크·릴리 등이 독점하고 있는 구조입니다.
특히 경구형 GLP-1 치료제는 희소성과 편의성으로 인해 공급 부족 상태이며, 이로 인한 경쟁사 진입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삼천당제약이 SNAC-free로 세계 최초 BE 시험 통과는 이 150조 시장에 직접 진입 가능한 티켓을 확보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3. S‑PASS 플랫폼 자체의 가치 부각
기존 GLP-1 경구제는 SNAC이라는 조성물 특허에 의해 글로벌 제네릭 진입이 봉쇄되고 있었음.
삼천당제약은 자체 흡수 촉진 물질을 사용, 특허를 완벽 회피하면서도 오리지널 대비 100% 동등한 혈중농도(Cmax)·노출량(AUC) 입증.
이는 단순한 ‘복제 성공’이 아니라, 글로벌 Big Pharma를 겨냥한 기술력 상징으로 작용함.
플랫폼의 확장성까지 인정받아, 향후 GLP-1 외에도 다른 주사제의 경구 전환 사업 확대 가능성이 큼.
옵투스제약
1. 지배 구조
삼천당제약은 2012년 옵투스제약 지분을 인수하여 현재 약 39%의 지분율과 의결권을 통해 실질적인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옵투스제약은 연결 재무제표상 종속회사로 분류됩니다.
2. 사업적 연계
옵투스의 생산능력 확대 및 CMO(수탁생산)는 삼천당제약의 파이프라인 공급 안정성에 기여하고 있으며, 두 회사는 생산-유통 측면에서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습니다.
주가 흐름 및 시장 반응
삼천당제약의 주요 모멘텀(예: SCD411 유럽 판매권 계약, 생산능력 확대, 신공장 계획 등)은 옵투스제약의 주가에도 영향을 미치는 등 주가 동조화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4년 3월 SCD411 관련 호재 당시 두 종목 모두 30% 내외 동반 신고가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 요약 정리
구분 | 설명 |
---|---|
지배관계 | 삼천당제약 → 약 39% 지분 → 옵투스제약 종속회사 |
사업 연계 | 생산 능력 및 CMO 협력, 공급망 상호 보완 |
주가 동조화 | 주요 모멘텀 발생 시 두 주식이 동시에 급등 |
🔍 요약 비교
항목 | 삼천당제약 | 옵투스제약 |
---|---|---|
임상·R&D | GLP-1 경구제 BE 시험 성공 | 바이오시밀러 및 점안제 생산 전문 |
주가 흐름 | +15% 급등, 20만 원 회복 기대 | +10% 이상 동반 상승 |
시장 위치 | 선두급 실적 호재 반영 | 제약 업종 강세 속 상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