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가격 사이클 비교 (2016~2025) + 월별 차트

이더리움 가격 사이클 비교 (2016~2025)와 장기 보유자 매도 압력

1. 현재 국면 (2025)

이더리움(ETH)은 현재 약 $4,294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4,500 저항을 돌파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장기 보유자(LTH)의 매도세가 증가하면서 단기 조정 압력이 강화되고 있으며, 이는 과거 사이클에서도 반복되었던 전형적인 패턴입니다.

2. 연대기별 주요 사건과 가격 흐름

① 2016년 DAO 해킹과 체인 분기

2016년 6월 17일 DAO 해킹 사건 이후, 이더리움은 하드포크로 체인을 분리하여 이더리움 클래식(ETC)이 등장했습니다. 이는 첫 대형 보안·거버넌스 충격으로 가격 변동성을 크게 확대했습니다.

출처: Wired(2016), Wikipedia(DAO hack)

② 2017~2018년 ICO 사이클

2017년 ICO 붐으로 ETH는 2018년 1월 약 $1,400까지 상승했으나, 이후 장기 보유자의 매도와 규제 불확실성으로 급락. 2018년 12월에는 $84까지 하락(연말 종가 약 $133).

출처: CoinMarketCap 가격 데이터

③ 2020년 블랙서스데이와 DeFi Summer

2020년 3월 글로벌 증시 폭락 시 ETH는 약 $88까지 급락했으나, 같은 해 6월 COMP 토큰 유동성 채굴을 계기로 ‘DeFi Summer’가 시작되며 연말에는 $700 이상으로 반등했습니다.

출처: Cointelegraph(2020.6)

④ 2021년 EIP-1559와 사상 최고가

2021년 8월 5일 런던 하드포크(EIP-1559) 시행으로 수수료 소각 메커니즘이 도입. 같은 해 11월 ETH는 사상 최고가 $4,867을 기록했으나, 이후 긴축 전환과 매도 압력으로 조정이 시작되었습니다.

출처: MarketWatch(2021.11), Coinbase 블로그

⑤ 2022년 머지(The Merge)

2022년 9월 15일 이더리움은 PoW에서 PoS로 전환. 에너지 사용량이 99% 이상 줄고 발행량 감소가 예상되며 장기 펀더멘털 강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출처: Ethereum Foundation, Hashdex

⑥ 2023년 샤펠라(Shapella)

2023년 4월 12일 업그레이드로 스테이킹 출금이 가능해졌습니다. 대량 매도 우려와 달리 재스테이킹이 늘어나며 네트워크 신뢰가 강화되었습니다.

출처: Fidelity Digital Assets, Blocknative

⑦ 2024년 덴쿤(Dencun) & 현물 ETF 승인

2024년 3월 13일 덴쿤(EIP-4844) 업그레이드 시행으로 L2 수수료가 크게 절감. 7월 22일 미국 현물 ETH ETF가 승인·상장되며 제도권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출처: QuickNode, Reuters(2024.7)

3. 사이클별 정리 표

사이클 핵심 촉매 저항/매도 구간 가격 흐름 출처
2016~2018 DAO 해킹, ICO 붐 $1,400 고점 후 80% 하락, 2018.12 $84 Wired, CoinMarketCap
2020~2021 블랙서스데이, DeFi Summer, EIP-1559 $4,500~$4,800 ATH $4,867 후 조정 Cointelegraph, MarketWatch
2022~2024 머지, 샤펠라, 덴쿤, ETF 승인 직전 ATH 부근 펀더멘털 개선 + 제도권 수요 확대 Ethereum Foundation, Reuters
2025 현재 L2 확산, ETF 자금 유입 $4,500 저항 LTH 매도 압력 → 단기 조정 가능성 시장 데이터

4. 월별 차트 (영문 라벨)

5. 결론

과거 사이클에서 ETH는 고점 부근에서 LTH 매도 압력 → 단기 조정이라는 패턴을 반복했습니다. 그러나 2025년 현재는 PoS 정착, L2 확산, ETF 승인이라는 구조적 호재가 존재해 과거와 같은 급락보다는 완화된 조정 + 재상승 시나리오 가능성이 높습니다.

※ 본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니며, 정보 제공 목적의 분석입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