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업 개요
솔루엠은 2015년 삼성전기에서 분사한 전자부품·리테일 솔루션 기업으로, 2021-02-02 코스피에 상장했습니다. 주력은 전자가격표시기(ESL)와 IoT 등 ICT 사업, 파워모듈·3in1 보드·튜너 등 전자부품 사업입니다. 2025-04-21 회사는 창립 10주년 ‘Vision 3·3·3’(2028년 매출 3조원·영업이익 3,000억원 이상, 자사주 매입·배당 확대) 중장기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또한 2025-08 공시 IR자료에서 GDK화장품 인수를 발표, 2025-3Q 연결 편입 계획을 밝혔습니다.
- 중장기 비전 발표(2025-04-21) 및 배당·자사주 정책 언급: ‘Vision 3·3·3’. 한경 (2025-04-21), 전기신문 (2025-04-21), 이투데이 (2025-04-21)
- 2025-2Q 실적/사업 업데이트 및 GDK화장품 인수: 3Q부터 연결 편입 예정. KRX IR자료 PDF (2025-08)
- ESL 시장 과점 구조 및 점유율 추정(상위 3사 과점): 유진투자증권 (2024-01-17, PDF)
2. 주요 사업 분야
2.1 ESL·IoT 등 ICT 사업
전자가격표시기(ESL)는 매장 가격·프로모션 정보를 무선으로 관리하는 디스플레이 라벨입니다. 솔루엠은 하드웨어(라벨)·게이트웨이·소프트웨어(플랫폼, SSP)까지 턴키 제공 역량이 강점입니다. 수익모델은 초기 구축(라벨·인프라) 매출 + 유지보수·소프트웨어 라이선스(구독/업데이트) 구성으로 전환 중입니다. 고객은 유럽 대형 유통사(예: Aldi·Bonpreu 등) 및 일본/북미 리테일 체인으로 확장 중입니다. 2023-4Q 대형 유럽 2곳·일본 1곳과 3년 공급계약을 체결했고, 이후 북미 ‘메가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라고 공시 자료에서 밝혔습니다. 생산은 베트남 등 해외 거점을 활용하며, 대형 고객 맞춤형 커스터마이징 대응이 경쟁 포인트입니다. 글로벌 경쟁은 Vusion Group(구 SES-imagotag), Pricer와의 과점 구도이며, 솔루엠은 내재화된 제조·납기 경쟁력을 강조합니다.
- SSP 기반 통합 리테일 솔루션·영업거점 확대 계획(‘Vision 3·3·3’). 이투데이 (2025-04-21)
- 북미 메가 프로젝트 진행 언급(사업 확대 기대). KRX IR (2025-08)
- 2021-4Q ESL 5,500억원 수주 공시 기사(유럽·일본 대형 고객). 이데일리 (2021-02-03)
- 글로벌 과점(상위 3사 90%±)·점유율 추정치. 유진투자증권 (2024-01-17)
2.2 전자부품(파워모듈·3in1 보드·튜너·디지털사이니지)
파워모듈(휴대폰·서버·EV 충전 등)과 TV ODM 고객사향 3in1 보드, 튜너 등 제품을 공급합니다. 수익은 대형 세트 고객사향 대량 공급이 중심이며, ASP·스펙 믹스에 따라 마진 변동성이 존재합니다. 2025-1H에는 TV 수요 둔화로 3in1 보드 매출이 부진했고, 하반기 가동률 회복을 목표로 정상화 추진 중이라고 공시했습니다. 반면 파워모듈은 제품 다변화로 방어, 서버·고부가 파워 중심 재편을 지향합니다. 경쟁은 중국·대만계 및 글로벌 전원 업체와의 가격·납기·신뢰성 경쟁이며, 대형 고객사의 사이클·원가 변수에 민감합니다.
FnGuide 기업개요 (조회 2025-09-05), KRX IR (2025-08)
2.3 디스플레이/사이니지·스마트조명 등
디지털 사이니지와 공공/스마트시티 적용 조명·센서 융합 솔루션을 운영합니다. 2023-09 독일 스마트가로등 수주 등 B2G 방식 사업을 전개하며 유럽·북미로 기회를 모색했습니다. 이 분야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 에너지 효율·유지보수 효율이 경쟁 포인트로, 프로젝트 수주 편차에 따른 실적 변동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국경제 (2023-09-18)
3. 재무 현황 (IFRS 연결)
구분 | 2022 | 2023 | 2024 |
---|---|---|---|
매출액(억원) | 16,945 | 19,511 | 15,944 |
영업이익(억원) / 영업이익률(%) | 756 / 4.46 | 1,545 / 7.92 | 691 / 4.33 |
당기순이익(억원) | 454 | 1,194 | 377 |
부채비율(%) | 256.66 | 134.70 | 126.25 |
영업활동현금흐름(억원) | -2.83 | -47.14 | -5.33 |
투자활동현금흐름(억원) (CAPEX proxy) | -2.83 | -471.42 | -206.37 |
* 데이터 기준: 2022~2024년 연결 기준(억원 환산). 매출/이익/부채비율은 FnGuide (조회 2025-09-05). 현금흐름은 회사 IR 재무정보(연간, 원 단위) 환산치. 솔루엠 IR 재무정보 (조회 2025-09-05)
4. 주가/주주 현황 (기준일: 2025-09-05)
시가총액(보통주) | 9,142억원 | 외국인 지분율 | 19.81% |
발행주식수(보통/우선) | 47,816,236 / 7,000,000주 | 유동주식수/비율 | 40,022,210 / 83.7% |
1M / 3M / 12M 수익률 | +19.87% / +26.54% / -4.88% | 52주 고가/저가 | 21,300 / 13,940원 |
주요 주주(보통주 기준, DART 지분공시 집계): 최대주주측 16.30%(2025-07-01), 얼라인파트너스 외 1인 9.21%(2025-09-03), VIP자산운용 7.99%(2025-07-09), 국민연금 7.09%(2024-08-06). FnGuide 주주현황 (조회 2025-09-05)
2025-09-03~05 사이 얼라인파트너스의 5% 이상 지분 보고가 확인되며(약식 보고 8.04% 공시 → FnGuide 집계 9.21%), 관련 보도로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DART 5% 보고(접수 2025-09-04), 조선비즈 (2025-09-05), 아시아경제 (2025-09-05), 뉴스토마토 (2025-09-05)
5. 성장 동력과 리스크
- ESL 매출 재성장·수주잔고: 2025-2Q 말 ESL 3년 수주잔고 약 2.2조원 추정(증권·채권 리포트 인용). 북미 메가 프로젝트 여부가 레벨업 변수. 채권 리포트 요약 (2025-08-14), 헬로티 (2025-08-21)
- 제품 믹스 전환: 고부가 파워·ESL 솔루션(SSP) 비중 확대 시 마진 개선 여지. 이투데이 (2025-04-21)
- 배당·자사주 정책: ‘Vision 3·3·3’에서 주주환원 강화 표명. 실행 강도·일정이 밸류에이션에 영향. 한경 (2025-04-21)
- 리스크: TV 사이클 둔화에 따른 3in1 보드 변동성, ESL 입찰 지연·가격경쟁 심화, 해외 CAPEX·운전자본 부담. KB증권 코멘트 (2025-07-15), FnGuide (조회 2025-09-05)
- M&A(지디케이화장품): 2025-3Q 연결 편입 예정. 캐시카우 기대 vs 비핵심 우려의 공존—시너지·자본배분 성과 모니터링 필요. KRX IR (2025-08), 매일경제 (2025-06-22)
6. 행동주의 관점의 개선 시나리오
핵심은 공시를 통한 ‘정책의 명문화’와 그에 따른 멀티플 리레이팅입니다. 배당·자사주·ROIC 기반 M&A 기준이 공시로 확정되면 기관 수요가 유입되고, 동종 대비 낮은 PER(예: 글로벌 ESL 피어 대비 저평가) 갭 축소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과제 | 현상/쟁점 | 행동주의 제안 시나리오 | 가치 영향(정성) | 근거/참고 |
---|---|---|---|---|
1) 포트폴리오 재정렬 | TV향 3in1 보드 등 변동성·저마진 부문이 실적 변동성 야기 | 저수익 부문 구조조정/합작·매각·축소로 고부가 파워·ESL 솔루션 중심 재편 | 영업이익률·멀티플 제고 | IR 2Q25 부문 실적, KB증권 (2025-07-15) |
2) 수주·소프트웨어 공시 강화 | ESL 수주잔고는 높으나 가시성·ARR 공시 부족 | ESL 잔고 정의·해지율·인도 일정·SSP ARR 분리 공시 도입 | 예측가능성↑, 할인율↓ | 수주잔고 2.2조원 언급, SSP 전략 |
3) 자본배분·환원 정책 | 현금흐름 변동성 속 주가 디스카운트 | 명확한 배당성향(예: 20%+)·저평가 국면 자사주 매입 상시화·M&A ROIC 기준 강화 | 멀티플 리레이팅 | 비전 발표(배당·자사주), 얼라인 투자 철학 |
4) 거버넌스·이사회 독립성 | 기관·행동주의 지분이 최대주주에 근접 | 사외이사 전문성 강화·위원회 중심 의사결정·성과연동 보상체계 재정비 | 리스크 관리·지속가능성↑ | 기관 지분 결집 기사 |
5) M&A 사후관리 | GDK 화장품 인수의 비핵심 논란 | 명확한 KPI(매출·이익·시너지) 공개, 목표 미달시 단계적 엑시트 옵션 | 자본 효율성·신뢰 회복 | IR (연결 편입 예정), 매경 (2025-06-22) |
6.1 행동주의 공시 이후 개선 사례(선행 레퍼런스)
- KT&G: 행동주의 압박 국면에서 대규모 자사주 소각 로드맵(’27년까지 발행주의 20%) 등 주주친화 정책을 공시·강화. 이후 밸류업 기대가 반영되며 리레이팅 논의가 본격화. 뉴스톱 (2024-11-14), 비즈니스포스트 (2025-05-28)
- 삼성물산: 다수 행동주의 연합이 배당 증액·자사주 매입을 주주제안으로 공시 단계까지 끌어올리며 주주환원 압력을 제도권 의제로 부각. 표결은 회사안이 가결됐으나, 이후 배당 축 증액 논의가 이어지고 ‘K-밸류업’ 맥락에서 디스카운트 축소 기대 형성. 딜사이트TV (2024-04-22), 동아일보 (2024-02-16)
- SK㈜: 주주 측 요구 후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공시, 저평가 해소 시도—행동주의가 환원 정책을 촉발한 전형적 케이스로 평가. 더벨 (2025-03-05)
- 한진칼(KCGI 연합): 공격적 주주행동으로 지배구조·배당·자본정책을 공개 의제로 끌어올림. 결과는 혼재됐지만, ‘공시·주총 테이블’에서 정책을 다투게 만든 대표 사례. 딜사이트TV (2023-04-21), 은행장매거진 (2024-12-02)
- 스틱인베스트먼트: 국내외 행동주의 펀드 지분 확보 이후 저평가 해소 요구가 부각되며 가치 재평가 기대감 부상. 인베스트조선 (2025-05-29)
시사점 — 위 사례들의 공통분모는 “공시로 약속을 명문화”하고, 그 약속이 후속 집행(배당·자사주 소각·ROIC 규율 등)으로 연결될 때 PER/PBR 리레이팅이 발생했다는 점입니다. 솔루엠의 경우도 ① 첫 배당 실행, ② 자사주 정책 가시화, ③ ROIC 기반 M&A 가이드가 공시로 구체화되면, 글로벌 ESL 피어 대비 멀티플 괴리(피어 20배대 vs 국내 저배수 구간) 축소의 명분이 강화됩니다.
7. 테마/연관주 지도 (국내)
테마 | 종목 | 연관 근거 |
---|---|---|
리테일 디지털전환(ESL/SSP) | 솔루엠 | ESL 하드웨어~플랫폼 턴키, 글로벌 리테일러 확대 |
리테일 IT 인프라 | 케이씨에스, 한국정보통신, 로지시스 | POS/결제/키오스크 등 매장 IT 인프라(간접 수혜군) |
8. 최근 주가에 영향을 준 ‘[특징주]’ 뉴스 (10년 내, 최신순)
제목(하이퍼링크) | 매체 | 날짜 | 요지 |
---|---|---|---|
[특징주] 솔루엠, 행동주의 펀드 지분 매입 소식에 17%대 강세 | 조선비즈 | 2025-09-05 | 얼라인 5%+ 지분공시 후 급등 |
[특징주]솔루엠, 최대주주 넘어선 2·3·4대 주주 합산지분율…행동주의 힘받나 | 아시아경제 | 2025-09-05 | 기관·행동주의 지분 결집 이슈 부각 |
(특징주)솔루엠, 행동주의 펀드 지분 매입에 급등 | 뉴스토마토 | 2025-09-05 | 얼라인 지분 확대 보도 |
[특징주] 솔루엠, 무인화 시대 수혜 전망에 8%대 강세 | 이투데이 via Nate | 2024-12-11 | 무인화·ESL 수혜 기대 |
[특징주]실적 회복세 솔루엠, 3%대 상승 | 아시아경제 | 2024-11-20 | 3Q 실적 개선 기대 |
[한경유레카 특징주] 솔루엠, 하반기가 더 주목받는 이유 | 한국경제 | 2023-08-22 | 연속 상승·52주 신고가 경신 배경 |
[유레카 특징주] 솔루엠, 적용 산업영역 확대 가능성…주가 5%대 상승 | 한국경제 | 2023-06-23 | 산업 적용 확대 기대 |
[특징주]솔루엠, 2분기 이어 3분기 실적도 호조세 전망에 5%↑ | 이데일리 | 2022-08-19 | ESL 비중 확대·레버리지 효과 |
[특징주] 솔루엠, 100억 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에 상승세 | 서울경제 | 2022-11-01 | 자사주 매입 공시 영향 |
[특징주]솔루엠, '국내 유일' 애플에 전원공급장치 공급 소식에 강세 | 파이낸셜뉴스 | 2021-06-22 | 애플향 파워 부품 보도 |
[특징주]솔루엠, 폭스바겐 전기차 공장에 ESL 솔루션 공급 소식에 강세 | 파이낸셜뉴스 | 2021-03-08 | 스마트팩토리용 ESL 적용 보도 |
[특징주] 코스피 데뷔한 솔루엠 '강세' | 서울경제 | 2021-02-02 | 상장 첫날 강세 |
데이터 수집 기준일: 2025-09-06
행동주의 펀드가 관심을 가졌을 법한 포인트(요약)
- 밸류에이션·사업 구조: 글로벌 과점(ESL)·수주잔고 대비 멀티플 디스카운트, TV향 부문으로 인한 변동성 → 포트폴리오 리셋 시 리레이팅 여지.
- 공시·투명성 제고: ESL/SSP 반복매출(ARR)·수주 소진률·해지율 등 정량 KPI 공시 강화 여지.
- 주주환원 실행: 비전에서 제시한 배당·자사주 매입의 구체화(규모·주기·조건)가 멀티플 개선 촉매.
- M&A 성과관리: 비핵심 논란 딜의 명확한 ROIC 트래킹과 페일패스트 옵션(부분 매각·스핀오프 등) 요구 가능.
- 거버넌스: 기관·연기금·행동주의 연합 시 이사회 독립성·보상 연동 강화 압박이 실효적일 가능성. 아시아경제 (2025-09-05)
참고/소스
- 재무·주가/주주: FnGuide 스냅샷 (조회 2025-09-05)
- ESL/사업 업데이트·IR: KRX IR 2Q25 PDF (2025-08)
- 중장기 비전: 한국경제 (2025-04-21), 전기신문 (2025-04-21), 이투데이 (2025-04-21)
- 행동주의 유입 보도/지분공시: DART (2025-09-04), 조선비즈 (2025-09-05), 아시아경제 (2025-09-05)
- 행동주의 공시→개선 사례: KT&G 자사주 소각 로드맵 (2024-11-14), KT&G 행동주의 분석 (2025-05-28), 삼성물산 행동주의 연합 (2024-04-22), 배당·자사주 제안 보도 (2024-02-16), SK㈜ 자사주 소각 사례 (2025-03-05), 한진칼/KCGI 사례 (2023-04-21), 스틱인베스트먼트 (2025-05-29)
- ESL 과점·점유율 추정: 유진투자증권 (2024-01-17)